로그인

검색

일반

아니 리셀이 왜 안되는겁니까 돈 없어서 배 아프십니까?

shotgun022020.08.25 03:52조회 수 3153추천수 4댓글 75

제목 그냥 가식 없이 솔직한 생각 쓴거구요, 쓰고나서 너무 어그로인가 싶었는데 그냥 어그로 끌어서 사람들은 각자 무슨 생각하는지 알아보고 싶어서 궁금해서 걍 냅둡니다.

 

일단 저는 19살 고등학생입니다. 저는 스트릿 의류나 스니커즈 문화에 관심 가진지 대충 5년정도 됩니다.

리셀을 문화라고 하기엔 문화 라는 단어의 뜻과 안 맞는 것 같고, 리셀 현상에 대해서 저는

 

21세기는 자본주의 사회고, 공급과 수요에 따라 지금

 

1. 공급이 많은데 수요가 별로 없다 = 물건 값이 싸진다.

2.공급과 수요가 비례한다 = 정가 혹은 매진을 위한 약간의 마케팅 의도의 세일

3.공급이 적은데 수요가 많다 = 수요가 많을수록 정가+ 리셀가 이고, 수요가 늘어날수록 가격에는 넘사벽이 생깁니다. 돈 많은 사람이 사는거죠 뭐.

 

옷이든 스니커즈든, 펜더 52텔레캐스터(일렉기타입니다), 가수의 한정반 앨범이든 거의 대부분 물건 및 상품에 적용된다고 생각합니다.

(가수의 공연 같은 문화예술 행위에 대해선 반대하는 편 ex) 헉피의 분신 - 헉피가 리셀러들을 보고 저 씹새는 뭔데 가만히 앉아서 돈을 벌어? 공연하는 건 난데? )

리셀에 대해 거부반응이 있는 사람들이 있을 순 있으나, 현 시대에는 이게 당연한 이치라고 생각합니다. 리셀에 대해 의견차는 있을 수 있으나, 이렇게까지 오랫동안 극심하게 논쟁 주제가 되야 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개인적으로 이게 틀린 논리라고 생각하지 않고 그렇다고 리셀을 좋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을 병신들이라고 하고 싶은 건 더더욱 아닙니다. 하지만 무슨 리셀충이니, 리셀 하는 놈들은 다 병신들이니 죽어도 이해가 안된다. 과격한 표현들을 보면 그 사람들 진짜 ㅈ병신들 같습니다.

 

리셀가가 높게 형성이 되어 있는데 물건이 안 팔리면 리셀가가 떨어질 것이고(리셀러들도 물건을 팔아야 할 터이니)

반대의 경우면 위에 말한 것처럼 더 가격이 올라가겠죠. 돈 있는 사람은 어찌됐든 삽니다 정가든 리셀가든.

 

왜? 그거 사도 돈이 존나게 많으니까!

 

 

리셀러들도 리셀하는데 능력이 되니까 하는거 아닌가요? 물건 확보되고 똑바로 팔 줄 알고, 손해보단 이익을 극대화 할 줄 알ㄹ고.

 

 

리셀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ex)신발- 실제로 착용 안하실건데 왜 리셀하세요 그냥 정가양도 해서 같이 스니커즈 문화 즐깁시다 ㅡ,ㅡ이러는데,

이런 분들이 본인이 인기있는 신발 살 수 있는 기회가 있을때, 본인은 실제 착용(실착)할 마음이 없고 정가양도 한다고 하면

저는 이런분들은 리셀러 욕해도 이해합니다.

 

다만 제가 봐 온 대부분은 내로남불이 ㅈㄴ 심합니다. 리셀충들 욕하다가 본인이 돈 벌 기회 오면 그냥 바아로 리셀 쳐버립니다.2만원 3만원 정도는 판매글 올리고 택배 싸고 구매자랑 연락하고 귀찮아서 리셀 안하는 사람도 조금 액수 커지면 바로 리셀 하더라구요. 일반화는 아닙니다. 제가 본 것들이니.

 

 

다만 위에 헉피를 예로 든 것처럼, 공연 같은 경우에 그 공연을 하는 행위자가 기분 나쁘면 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공연말고는 이런 무형?의 상품인 경우가 잘 안 떠오르네요.

행위자가 리셀에 대해 부정적이지 않으면 공연 티켓 같은 경우에도 리셀 상관 없다고 생각합니다.

 

 

리셀을 "심하게" 욕하시는 분들은 그냥 인기 많고 인정받는 앨범, 옷 , 신발, 물건 사는게 배 아파서 그러시는 건가요? 대체 이유가 뭔가요. 궁급합니다. 

 

본인은 가만히 앉아서 적게는 5,30 크게는 100에서 맥시멈 400까지 벌 수 있는데 리셀 안하겠어요? 불법도 아니고?

불법 아니더라도 윤리적으로 잘못된 편법 같은 건가요?

아니면 리셀하는 법을 몰라서 그냥 구경하면서 배 아파하는건가요?

리셀가로 물건 사는건 구매자 입장에서 소비 아닌가요? 이건 소비로 인정 안해주나요?

리셀한다고 허클베리피처럼 그 물건 판 브랜드 회사가, 나이키가, 아디다스가, 칸예가, 펜더가, 깁슨이, 기분 나빠하나요?

 

요즘도 이러한지는 잘 모르겠지만 명절날 기차표 암표 늘어나는 것도 리셀충 ㅗㅗ인가요?

공급과 수요에 따라 상대적으로 소수의 표를 구할 능력이 되는 사람이 다수의 필요한 사람 중 한명한테 비싸게 파는건데? 

 

그리고 이 글을 보고 급식새끼가 금수저인가보네, 돈을 안 벌어봐서 그렇다 이러는 분들 있을까봐 설명하자면

저는 그냥 딱 중산층 평균 정도의 집안에서 태어났습니다. 지금도 그정도구요. 

쉽게 설명하자면 학교 친구들보다 우리집이 잘났다, 모자랐다 생각 안하고 다 거기서 거기인 거 같습니다. 

자전거 삼천리 탑니다. 고급 로드 하나 타고 싶네요...

저도 리셀가 때문에 스캇 덩크 신고 싶은데 보고 침만 흘리고, 조던1 사고 싶은데 돈 없어서 이지부스트 리셀해서 15만원 벌고 그걸로 조던1.5 시카고 샀습니다. 이번년도 초에는 운좋게 조던1 85' 바시티 레드 정가로 구해서 100정도 벌고 그걸로 스피커 바꾸고(미디 작곡 배우는 중), 베이프 샤크후드 예전에 샀다 팔았는데 너무 추억이라 다시 사고, 친구들 밥 사주고, 조던3 위저드 사고, 그동안 하고 싶었던 거 했습니다. 오해 없으시면 좋겠습니다.

 

P.S 서로 생각의 다름을 인정하고, 제 생각을 강요하진 않습니다. 의견은 많고 각자 다릅니다.

(이런 인생의 태도를 갖게 해준 팔로형께 감사)

 

리셀 좋아요=정상 / 리셀 별생각 없어요 = 정상 / 리셀 별로예요 = 정상

리셀을 왜 저렇게까지 욕하는거지 ㅅㅂ 바본가?  = 비정상

리셀충 으악 하지마 리셀 왜 함? 병신인가? = 비정상

 

리셀충 으악하는 비정상들을 보고 똑같이 비정상의 태도로 물어보는 글입니다. 불편하신 분들껜 죄송합니다.

신고
댓글 75
  • MEAGOUGHBest베스트
    14 8.25 06:29

    경제 졷도 공부안해본 급식다운 발상이네요

    무식한게 신념을 가지면 무섭다는게 뭔지 배우고갑니다

  • title: Gunna요한크루이프Best베스트
    10 8.25 05:59

    탈세 조기교육 ㄷㄷ

  • title: 2Pac (2)안드레2999Best베스트
    8 8.25 07:33

    정말 어리고 멍청한 생각이네요.

    님 논리대로라면 암표상도 정상적인 거래를하는겁니다.

    그리고 온라인 리셀러들은 불법적인 매크로를 사용하고 문제가 많아요.

  • 8.25 04:11

    원래 리셀 별생각 없었는데 이번에 오왼 한정시디 놓치고 나서 자연스레 리셀이 ㅈ같아짐.

  • 8.25 05:20
    @D.C워싱턴
  • 6 8.25 04:12

    생산자가 원치않는 방향으로 소비되고, 소비자들은 원하는 재화를 위해 필요이상의 비용을 지불하고 중간에서 리셀러들이

    이득을 챙겨가면서 시장이 왜곡되면서 시장을 망치는 주범이니까 문제가 되죠

     

    예를 들어 현재 빌스택스의 LP를 너무 가지고 싶은 리스너는 20만원리셀러에게 사야겠죠

    반면 리셀러가 없고 정상적으로 구매를 한다면 4만원에 구매를 한다면 나머지 돈으로 다른 엘범을 사겠죠 그렇게 되면서 시장이 커지고 랩퍼들이 더 좋은 환경에서 작업을 하는 자양분이 되면서 긍정적인 선순환이 되는데 리셀러가 끼어들면 엄한 놈이 돈을 벌고 시장이 왜곡됩니다

    그리고 리셀러가 구입하는 목적이 문화를 사랑해서, 아티스트를 서포터 하려고 사는것도 아니고, 시장에 기여한것도 없이 중간에서 이득을 취해가니까 문제인겁니다

     

  • 5 8.25 04:30

    수요공급이 맞물린다고 정상적인 시장경제라는 뜻은 아님

    일단 수요공급이 맞물리며 균형가격이 맞물리는건 어디까지나 독점이나 다양한 요소를 빼 상태에서 맞물려서 균형가격이 설정됨

    실제로는 훨씬 더 복잡한 과정을 거쳐 가격이 설정됨

    특히나 팬서비스 개념의 LP나 cd피지컬의 경우 아티스트들은 몇푼 안남다시피하고 찍어내는게 태반인 케이스

    따라서 대부분 일정 수량만 딱 찍어내고 나중에 재발매등을함

    리셀러들이 작정하고 쓸어담고 기준가를 높게 측정해서 판매하면 이게 정말 수요와 공급이 맞물려서 형성된 균형가격인가? 이건 생각해볼부분이 필요, 그리고 자본주의 체제에서 무조건 시장방임형태로 수요와 공급이 알아서 가격을 조정해준다라며 방치하는 케이스는 21세기들어서 사라진지 오래. 정부차원에서든 뭐든 물가안정법률 매점매석 처벌 공정위등의 기관들의 독점 규제등이 대표적인 시장개입.

    또한 개인적으로 생각해보았을때 cd와 lp등 판이작은 힙합씬에서

    머천다이즈 리셀이 씬 전체적인 효용을 생각했을때 과연 효율적인가? 이것또한 의문

    평균생산비용 절감이 가능할 만큼의 물량만 한정판으로 찍어 팬들에게 효용을 극대화 시켜주려는 아티스트들의 의도가

    리셀의 개입으로 의도는 깨져나가고 팬들의 효용자체는 줄어들고 또는 돈이 없어서 구매하지못하는 팬들도 발생하고 그럼 씬의 전체적인 효용과 비용의 효율성을 생각해보면 그게 씬의 전체적으로 이득이 될까? 이건 의문.

    심지어 팬이 프리미엄으로 붙여준 추가비용의 기회비용까지 생각한다면 씬전체적으로 보면 더 손해가 될수도

    또한 매크로봇이나 탈세등의 문제등은 덤.

    백도어등은 온라인에서 일어나긴 쉽지않으니 덜하겠지만

    분명히 리셀크루등이 나타나서 사실상 독점에 가까운 리셀시장을 형성할 가능성도 있음. 특히나 크루의개념으로 모여서 리셀가를 담합까지한다면 파이가 작디작은 이 씬의 시장에서 무슨 문제가 발생할지 모르겠음

    개인적으로 스니커 옷 등등은 하던말던 관심이 없음.

    다만 찍어내지 않는게 아닌 찍어내지 못하는 작금의 아티스트들의 주머니사정에 그팬들을 위해 조금이나마 찍어내는 앨범들 그걸 악용하는 리셀러들은 좋게 보이진 않음

    리셀이 나쁜짓이냐 물으면 잘 모르겠다 하겠지만,

    리셀이 착한짓이냐 물으면 단호하게 아니라 할듯

     

  • 5 8.25 04:33

    그리고 명절 기차표 암표는 실제로 처벌도 할수있어요ㅋㅋ 리셀충 ㅗㅗ맞아요 그건 다만 적발을 못해서그롷지 이건 법 제대로 안만드는 나랏님들이 문제지만

    웃돈주고 승차권 거래하면

    철도사업법10조및 경범죄 처벌법3조 위반으로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가능하다네요^^ 적발여부를 떠나서 분명한 위법입니다

    그리고 전 리셀한번도 해본적없음 중고구매말고 “리셀”이요 애초에 필요하고 원하는걸 사지 애먼데 응모하고 사고 팔고 안해봄

  • 1 8.25 04:36

    저도 님 생각에 부분적으로 동의함. 공연티켓은 또 별개로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저도 이렇게 적나라하게 쓰고싶었지만 그냥 해결책이 무엇일까 이렇게 작성했었죠

     

    원래 사람들은 현실을 외면하고 이상을 쫓기 마련임

     

    여러글 보며 느낀건데 대부분 다 돌만 던지지

     

    해결책 제시는 안함 아니 못하는건가

     

    개인적 생각으로 해결책 제시해도 개념이해못하는 사람도

     

    있었고 다짜고짜 개똥철학이라고 딜박는 사람도 있었고

     

    애초에 힙합엘이란 사이트가 리셀에 부정적인 의견이

     

    주인건 확실하다고 느낌. 헉피사건도 그렇고 디톡스. LP도

     

    그렇고 당연한 분위기인거임

     

    리셀이 이제 여러 분야에서 당연시 여겨지는것 처럼

     

    돌던지지말고 다른 시각으로도 좀 봅시다

     

    팩폭글 추

  • 1 8.25 04:44

    유형 제품 리셀은 몰라도 공연같은 무형의 서비스의 되팔렘은 생산자 입장에서 존나 기분 나쁜게 맞음. 공연의 목적은 이윤추구 뿐만아니라 고객(팬) 만족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임.

  • 1 8.25 04:45

    리셀에 대한 논문을 읽어보면 리셀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엄청 복잡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 논문(https://www.nber.org/papers/w15476.pdf) 에서는 활발한 티켓 리셀이 있는 세계에서는 토탈 사회적 잉여가 증가하지만, 그 이익은 대부분 리셀하는 소비자가 차지하고 오히려 소비하는 소비자의 잉여와 생산자의 수입은 감소한다는 결론입니다. 실제 소비자가 많은 엘이에서 리셀에 대한 반응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고 볼 수 있죠.

     

    추가

    활발한 리셀은 한 시장의 가격, 경쟁, 참가자들의 행동, 지불의사 등등의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가 실제 소비자와 생산자의 불이익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아티스트들이 리셀을 반대하는 이유도 실제로 콘서트에 오는 팬들의 불평 때문이 갰죠.

  • 1 8.25 04:48
    @BlackSholes

    저도 계속 이런 의견을 펼쳤는데 받아드려지지 않았죠

     

    리셀이용해서 시장성장 유도해보자 했지만 다 반대의견이

     

    많더라고요

     

    말씀처럼 소비자가 주인 엘이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당연한거네요

  • 1 8.25 04:56
    @협스힙

    사회적 잉여가 커지는게 씬의 파이가 커지는건 아니지 않나요?

    어디까지나 사회 전체적인 잉여가 늘기야 하겠죠.

    근데 이씬의 구성원인 판매자와 생산자의 잉여에서 소비자잉여가 줄고, 생산자의 잉여는 그대로라면 오히려 씬의 축소아닌가요?

    리셀러가 이씬에서 또다른 문화적인 소비자로 정말 소비를한다는 보장이 없다면 씬의 잉여는 줄어드는거 아닌가요 저분말씀대로면?

  • 1 8.25 05:11
    @고졸무직백수

    저번에도 말씀드렸다시피 제 의견은 프리오더로 해결책을 제시했습니다 그리고 그에 동시에 리셀문화를 이용하자했구요 그러면 자연스레 시장이 커질거고 공급량도 증가하면서 소비자잉여도 증가할거고요 제가 리셀만 주장했다고 생각하지 말아줘요 제발..

     

    자유롭게 의견 나누는거지 제 생각이 100프로 맞다고 보장합니까? 고졸무직백수님 의견이 100프로 맞다고 보장할수도 있는거 아니잖아요

     

    제 개인적인 생각은 그냥 아쉽다는거임 문제다 문제다 하고 돌만 던지고 해결책 제시는 못하는게

     

    그리고 저번에 프리오더 이야기하면서 느낀건데 주문방식 개념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서 너무 시장의 파이, 효용성에 대해서만 언급하시는데 저에게 설득적으로 다가오지 않네요. 추상적 개념이잖아요 너무..

    그리고 본인이 잘못 알고계신거엔 그렇군요 하면서 넘어가시는거면 상대방 의견도 존중해야죠...

    정답은 아무도 모르는거임 개념적 문제인거니까요 양측 입장은 둘다 당연시 생각하고 있으니까

     

  • 1 8.25 05:18
    @협스힙

    걍 궁금해서 여쭤본건데 전 제가 맞다고 생각안해요 다만 리셀러가 이씬의 외부의 사람이라면

    저분말대로 따져보았을때 씬을 구성하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잉여 총합을 씬의 파이로 봤을때

    소비자잉여가 줄어든다면 파이 자체는 줄어드는게 아니냐 이걸 여쭤본거에요.

    그리고 제가 왜 효용과 잉여등을 따지고 드냐면

    이걸 주장하는 대다수의 분들이 경제논리에 입각해서 주장하기때문에 저도 경제적인 영역에서 설명하려 드는거에요.

    뭐 제가 이런 질문 드린거마저 불쾌하다면 죄송합니다 저는 그쪽이 리셀만 주장한다고 한적도 없어요 그냥 단순히 사회적 잉여만 커지고 소비자 잉여가 줄어드는 이야기에 시장성장을 이야기 하시길래 그게 어떻게 귀결되는지 궁금했을뿐입니다

  • 2 8.25 05:23
    @고졸무직백수

    그리고 고졸무직백수님이 제일 간과하는게 그 부분입니다. 리셀문화를 이 씬의 외부사람이라고 생각하는거요

    외부사람이면 디톡스 LP가 20만원의 가치라고 생각하고 사재기도 안해요 아님 못합니다.

    누구보다 씬을 잘알고 가치를 잘아는 사람이기때문에 사재기를 하는거임. 그렇기때문에 스니커시장도 그렇고 다른 시장에서도 그 원동력을 발판으로 성장하는 거고요.

     

    죄송할거 없습니다. 그러지마세요. 저는 한번도 경제적인 논리에서 설명한적도 없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런 개념적인 설명만으로 이해하는건 굉장히 바보같다고 생각합니다. 세상에는 외부변수가 너무 많아요. 저번 글부터 너무 제 이야기를 이해못하시는것 같아서 저도 일정부분 과민반응한것 같습니다 죄송합니다

  • 1 8.25 05:25
    @협스힙

    그래서 제가 말씀드렸잖아요 보장이없다면 사회적 잉여증가가 씬의 증가로 이어진다는 확신이 없다는거.. 효용이야기는 님이랑 이야기 할땐 별로 안했다고 생각했는데 제가 혹시 했나요? 저는 본문에 이해가 안가서 쓴이야기에요. 수요와 공급이 만나 가격이 형성되면 뭐가문제냐? 이이야기를 따지고 달려고 한말이라 위에 제 댓글에 효용이니 효율성을 따진겁니다 정말 그렇게 균형가격이라면 모두의 효용이 올라가는 효율적인 상태가 될테니까요 근데 님말씀대로 다양한 외부요인들이ㅜ개입하기때문에 그 형성된 가격자체가 균형가격이 아닐거고 따라서 시장자체가 효율적이지못할거다란 이야기였습니다

  • 2 8.25 05:28
    @고졸무직백수

    계속 말씀하시는게 귀에걸면 귀걸이고 코에 걸면 코걸이인거심...

     

    보장이 없어도 사회적 잉여로 증가할수도 있는거죠.. 외부사람일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고

     

    실제로 리셀문화가 도움이 될수도 있고.. 외부변수는 무궁무진하잖아요..

     

    +++++++++++++추가

     

    댓글작성중에 또 장문의 수정이 있어서 댓글답니다.

     

    효용이야기안했어요. 왜냐 그거만큼 수치화되어있지않고 추상적인 개념이 없기때문입니다..

     

    리셀러로 인하여 시장이 효율적이지 못하다.

     

    그렇게 말씀하시는거면 현재 존재하는 모든 스니커시장이랑 리셀시장은 말씀대로 효율적이지 못해서

     

    쇠퇴해야 정상이에요.. 그런데 쇠퇴하고 있나요..? 그 리셀러들이 스니커시장에 소비하지 않아서

     

    스니커시장이 효율적이지 못한가요?.. 오히려 더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지.. 아디다스 이지만 봐도

     

    알수 있잖아요. 일반 아디다스 신발에도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CD, LP분야에서만 설명하시는게 본인 논리에 유리해요.. 그렇게 원론적으로 접근하면 다른시장에서

     

    오류가 나오잖아요..

  • 1 8.25 05:40
    @협스힙

    저는 항상 기본전제가 빈약한 한국 인디 음반시장이라곤 했는데요 이래도 납득이 어려우실까요? 뭐 저라고 완전 반대도 아니에요 근데 무조건 제도적인 규제가 필요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본문에서 말하는 니네그냥 배아파서 그러잖아 가 아니란 얘기입니다 본문에서 처럼 그냥 두면 알아서 돌아간다 만큼 안일한 생각이 없다 생각합니다 왜냐면 기본적으로 이시장이 너무 작기때문에요

    시장의 규모가 너무작기때문에 제가 말했듯이 리셀크루가 나타나서 쥐락펴락할수도 있는거구요..뭐 제가 항상 말했지만 저는 팬 서비스 개념에서 출발하다시피하는 한국힙합씬 cd,LP 판매 시장에서만 얘기중입니다..

  • 2 8.25 05:44
    @고졸무직백수

    네네... 원론적인 개념을 한 분야에서만 설명하는것만큼 자기 논리를 합리화 할수 있는 다른방법은 잘 없죠. 이래도 납득이 어려우실까요? 이 문장을 보니 본인 생각 자체가 제 납득을 바라시는것 같네요.

     

    리셀시장 전반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논문글에 단 댓글에 찾아오셔서 댓글다셨는데 자신은 한국힙합cd,lp분야에서만 계속 이야기하고 효용과 소비자잉여에 대해서만 이야기했다라.. 잘알겠습니다.

     

    본인 생각 잘 견지하시면서 사시는게 편할듯 합니다.

     

    아 그리고 다음부터는 포괄적인 분야에서 이야기중이라면 항상 확실하게 전제를 해주세요 이제와서

    내 전제는 이거였다. 이렇게 말씀하시면 말돌리기 밖에 더 됩니까

  • 1 8.25 05:47
    @협스힙

    아니 제 의도를 몰라주시니까 답답하네요 저는 항상 일관되게 옷이나 스니커등은 관심도없다고 얘기했어요.. 리셀시장 전문에 대한 댓글에 단건 어디까지나 이글 본문이 된 리셀 이야기 자체가 한국힙합음반시장에대한 이야기였기때문에 기본적으로 그런 이야기일거라 가정하고 단 댓글이었습니다. 제의도와 다르게 전해진점은 유감입니다. 처음 댓글에 제가말한 이씬=힙합앨범씬이었습니다 당장에 제가 위에 단 댓글만 봐도 cd와 lp라는 얘기를 계속 하고있잖아요

  • 2 8.25 05:51
    @고졸무직백수

    그게 본인이 가정한거지 제가 파악할수가 없잖아요.

     

    언급조차 안하셨는데 어떻게 압니까.. 그러니까 제가 설득력 없고 말돌리기라고 느낀거죠...

     

    저는 논문에 대해서 댓글다신분이 리셀시장 전반에 관하여 설명하셨길래 거기에 맞게 작성한거고요.

     

    전반에대해 작성한 댓글에 이제와서 그러시니까 참 당황스럽습니다.

     

    그리고 본문에는 다른 댓글을 달았습니다 저는..

     

     

  • 1 8.25 05:54
    @협스힙

    그렇게 따지면 저도 효용성이란 말을 여기 댓글에 달진 않았는데 본인께서 바로 효용성이니 뭐니 와닿지 않는다고 하시지 않았나요? 저는 오히려 본문댓글에서만 사용했구요..;

    여기선 소비자 생산자 잉여만을 말했는데 그렇게 효용 얘길 하셔서 당연히 제가 본문에 단 댓글도 포함해서 얘기하시는거라 생각했습니다 그렇기에 제가 말하는 시장자체를 cd,lp시장으로 이해하실거라는 제나름의 사고를 거친거구요

  • 1 8.25 05:57
    @고졸무직백수

    님 댓글 읽지도 않았다가 댓글다셨길래 보고 온거임. 무슨 논지신지 알아야하니까.

     

    그리고 아까부터 계속 그냥 전반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본인 핑계랑 말꼬리잡기뿐인데 그만해요..

     

    저한테 전혀 설득력없어요..

     

    이해하실거라는 그냥 본인 생각임.. 단어로 확실하게 표현하고 저를 이해시켜줘야지 이해했겠지 이렇게 넘기는게 뭡니까..

  • 2 8.25 06:00
    @협스힙

    아니 당황스럽네요 참 뭐 제가 cd시장이라고 미리말씀안드려서 죄송하구요

    제논지를 읽으셨다면 당연히 제가 cd시장 얘기를 한다는걸 파악하셨을거라 생각했어요 왜냐면 본문 댓글내내 cd얘기만 했으니까요 근데도 납득을 못시킨거보면 걍 제가 문제인가 봅니다~저는 처음부터 그얘기중인지라 엇나간 부분이있는거 같네요 근데 제입장에서는 제댓글읽고 그렇게 지적하시면 당연히 제가 하는 씬이 제 댓글의 기본 전제인 cd시장얘기라는걸 알고 계실거라 생각했어요 뭐 제가 핑계랑 말꼬리잡기 뿐이라고 하시는데 네 알겠습니다 전 걍 핑계만 댔고 이해를 못시키나보네요 죄송합니다

  • 1 8.25 06:04
    @고졸무직백수

    저도 일정부분 엇나간 부분이 있는것 같아요. 계속해서 죄송하다고 하시니 저도 죄송하다고 말씀드려야할것 같네요. 저도 다음부터는 조금 더 자세히보고 파악하고 댓글달겠습니다. 제가 생각한 방식이 틀린거일수도 있죠.

    모두의 의견은 존중받아야죠 저는 님의견이 틀렸다고 생각안합니다. 그래서 저번 글에서도 계속해서 이야기했고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8.25 06:04
    @협스힙

    핑계랑 말꼬리잡기라고 치부되기엔 저도 억울해서 그랬는데 이것마저 핑계랑 말꼬리잡기면 죄송합니다~ 다만 저는 계속 cd와 LP얘기를 한거하나는 자신할수있습니다 이건 핑계도 뭐도 아니고 정말 입니다 힙합엘이에서 “이씬”이라는 표현을 사용한것도 힙합씬을 염두한 표현이었구요 다르게 전달된거니 그부분은 제가 부족한거같네요

  • 1 8.25 06:12
    @고졸무직백수

    계속해서 죄송하다고 하시니 저도 죄송하다고 말씀드려야할것 같네요. 저도 많이 부족합니다.

     

    본인 생각에 자부심이 있고 본인 생각이 떳떳하면 되는거지 죄송할게 있나요 뭐

     

    자유롭게 의견나누는거죠.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잘들었어요

     

    다음에도 또 좋은 의견나누면 좋겠습니다! 다시한번 죄송합니다!

     

  • 8.25 05:48
    @협스힙

    납득해주길 바라는건 제가 음반시장에 대해서 얘기하고있다는걸 납득해달란 얘기였습니다 제가 댓글엔 항상 옷이나 신발엔 관심없고 공연 또는 cd등의 얘기만 했기때문에 제나름 억울한 부분도있기때문입니다

  • 1 8.25 06:13
    @고졸무직백수

    의도와 받아들임이 달라 오해가 생겼네요.

  • 8.25 05:28
    @고졸무직백수

    소비자와 리셀러는 서로 교체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이 씬의 파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모르겠네요. 이 논문에서는 생산자의 수입이 소량감소한다고는 합니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아티스트들이 대형리셀러들과 손을 잡고 이익을 나누는 추세입니다.

  • 8.25 05:36
    @BlackSholes

    제가 봤던 논문에선 미국의 티켓리셀링의 관한 것들이었는데 주마다 다르겠지만 보통은 리셀업체들 즉 2차시장에 대한 규제를 엄격하게 하고 정해진 규격과 방식을 통해서 리셀하도록 규제하는거 같더라구요. 또한 불법 프로그램등을 사용한 티켓 수급등은 불법으로 취급해 프로그램 사용을 막도록 하구요. 이러한 규제나 제도의 필요성을 느끼긴합니다. 법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사회전체적으로 보자면 완벽하게 불법으로 터부시할 근거가 빈약하다고하니까요.

    다만 사회전체의 공공이익등을 위해 재판매가격의 액면가를 규제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고 하네요 여기서 근거가 공공이익을 위한 정당한 경찰력의 개입이라고 하네요. 이런 근거로 보면 리셀시장에 개입을 할수있는 여지가 있긴한거같아요. 실제로 우리나라는 암표자체를 불법으로 보는 법리적해석도있으니까요. 다만 2010년부턴 라이센스제로 바뀌어서 리셀을 한다고하네요?

  • 8.25 05:22
    @협스힙

    아 그리고 이기회를 빌어서 제가 프리오더 방식을 이해도못하고 아 그렇군요 하고 넘어가서 정말 죄송합니다 주문방식도 이해못하고 추상적인 개념으로 떠들어댄것도 죄송하구요 다 죄송합니다 설득력을 피력할 마음도 옶구요 생각이 좁혀질거란 생각도 안합니다 그럼에도 죄송합니다 그냥 제가 궁금한지점을 여쭤본건데 설명해달라는 간곡한 부탁도 없이 그저 의문을 제기하는게 협 스 힙 님의 심기를 매우 불편하게 만든듯해서 굉장히 송구스럽게 생각하고있습니다.

  • 8.25 05:24
    @고졸무직백수

    댓글작성하는 사이에 이런 댓글이 달렸네요.

     

    저는 사과를 요구한적은 한번도 없어요. 의견나누는건데 죄송할게 뭐가있나요

     

    비꼬는것만 아니면 다행인거죠 뭐

  • 10 8.25 05:59

    탈세 조기교육 ㄷㄷ

  • 14 8.25 06:29

    경제 졷도 공부안해본 급식다운 발상이네요

    무식한게 신념을 가지면 무섭다는게 뭔지 배우고갑니다

  • 8.25 14:48
    @MEAGOUGH

    시원추

  • 8.25 16:15
    @MEAGOUGH

    팩폭추

  • 4 8.25 06:46

    너무 어린아이같은 생각인듯

  • 7 8.25 07:18

    ㅋㅋ 개인적으로 소장하거 한두개 파는 정도가지고 뭐라하는게 아니라 의도적으로 시세차익을 남기기 위해 일정 규모 이상 반복적으로 구매하면 문제가 맞는데

    거기서 수익나면 부가세 소득세는 내냐고요 ㅋㅋㅋ 최소 탈세행위인데 위풍당당

  • 8 8.25 07:33

    정말 어리고 멍청한 생각이네요.

    님 논리대로라면 암표상도 정상적인 거래를하는겁니다.

    그리고 온라인 리셀러들은 불법적인 매크로를 사용하고 문제가 많아요.

  • 6 8.25 07:37

    옷 좋아하고 신발 좋아해서 응모도 많이 합니다.

    전 당첨됐는데 제가 필요없으면 리셀로 안팝니다.

    리셀은 하면 안되는거예요. 너무 당당하게 말씀하시길래 적어봅니다.

  • 1 8.25 07:43
  • 1 8.25 08:04

    불법메크로로 매점매석하고 리셀하는것도 아무 문제 없다는 건가요..

  • 8.25 08:20

    불법 아니더라도 윤리적으로 잘못된 편법 같은 건가요?

    =>모든 리셀이 그런 건 아니지만, 디톡스 엘피같은 케이스는 당연히 윤리적으로 문제있죠. 생산자에겐 ㅈ도 이득없고 리셀러들 배만 불리는데ㅋㅋㄲㅋ

  • 8.25 08:20
  • 1 8.25 08:25

    그런 리셀러같은 쓋샛기들이 '합법적으로' 뭉치고 모여서 최초생산자는 1 가져가고 리셀의 리셀의 리셀짓 하는 악질들이 99가져가는 한국 유통구조가 완성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코로나때 매크로로 마스크 다 사서 몇만원씩 팔던 개새끼들이 해당합니다. 어때요? 보기에 유쾌하신가요?

  • 8.25 08:25

    전문 리셀러들은 매크로로 정상구매자들의 구매를 막고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시장가격을 조정하려 듭니다.

    그로 인한 이익에 대한 세금은 내지 않구요.

    이게 정상이라 보십니까?

  • 1 8.25 08:38

    납세도 안해, 불법 메크로 돌려서 시장의 기본적 원칙 깨부수는데 철없이 이게 왜 불법이야 하는 것 같아서 솔직히 많이 우습네요. 다름의 존중이 아니라 이건 틀림인데 ㅋㅋㅋㅋㅋ 비약이지만 시세 차익 얻는 부동산 투기도 자본주의에서 뭐가 잘 못 된거냐고 하면 할 말 없네요.

  • 3 8.25 08:44

    그리고 본인글은 본인이 바본가? 라고 했던 '리셀을 왜 저렇게까지 욕하는거지 ㅅㅂ 바본가? = 비정상' 에 가까워요.

    톡까놓고 이 글은,

    '왜 리셀 욕하는거지? 능력없는 거지라서 못하는거 아닌가?'

    '돈 있으면 다 하던데? 지가 리셀 할 수 있으면 무조건 할거면서 내로남불하는거 보소 시팔개같네'

    라는 식으로 쓰신건데, 난 아닌척+불편하거나 오해하는 사람에겐 사과한다

    라는 문장첨언하면 끝나는 줄 아시는게 생각이 참 얄팍하시네요.

    리셀생각하기 전에 자기성찰을 먼저 해보세요

  • 1 8.25 08:53

    진짜 뒷북을 무슨 트랩 드럼처럼 요란하게 쳐대네

  • 8.25 10:03
    @DORE

    비유 ㅆㅅㅌㅊ

  • 8.25 10:32
    @돈벌아이MOFAN
  • 4 8.25 09:09

    불법 맞는데~~~~ 리셀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그것을 통해서 수익을 창출하면 세금 내야하는데 안내면 탈세지요~ 법 공부좀 하세요 무식한거 티내지 말구

  • 8.25 10:13
    @Nonamed

    아직 청소년기 학생이니 너무 욕하지 맙시다

  • 8.25 13:48
    @Coldash

    수능땜에 뒤숭숭해도 19인데 어린나이는 아니쥬....

  • 8.25 09:27

    애초에 '구입권'을 추첨까지 해 가면서 최초 판매자가 hype을 위해 리셀을 유도하는 스니커즈/의류와

    구매자가 정당한 가격으로만 구매해주길 원하는 공연티켓이 동일선상에 놓일 수 있나요?

  • 8.25 09:44

    돈 없어서 배가 아프겠음? 쓰지도 즐기지도 않으면서 지 이익을 위해 세금도 안내고 사재기 되팔이 하는짓을 비판하는거지

  • 8.25 09:50

    경제 논리 하나로 모든 걸 설명할 수는 없죠~~~?

  • 2 8.25 10:04

    책 한권 읽은 사람이 제일 무섭다는게 이런거군요 ㅋㅋㅋ

  • 8.25 13:46
    @ansangang

    경규옹 1승ㅋㅋㅋ

  • @pdjbq

    저 말은 강호동이 그랬을걸요

  • 8.26 01:00
    @폭력적인잡종간디

    ㅇㅎ 그나저나 닉넴이ㅜ살벌하시네요

  • 2 8.25 10:13

    딱 고등학생 같은 글이네요.

     

  • 8.25 10:52

    실수요 가수요 차이는 아세요?

  • 8.25 11:11

    댓글 쓰려고 스크롤 내리다보니 하고 싶은말들이 먼저 많이 달렸네요. .

    19살이니 이글을 5년 후 24살에 다시 한번 읽어보고 부끄부끄하시길..

    그때도 같은생각이라면...쩝......

  • 8.25 11:44

    리셀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지만 경제 논리가 항상 완벽하고 쉽게 설명 가능한건 아니랍니다,,,

  • 1 8.25 12:00

    돈 있으면 리셀 해도됨? 별 좆같은 논리를 다보겠네. 급식이라 배운게 없어서 그런가

  • 8.25 12:11

    ‘그거 사도 돈이 존나게 많으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역시 돈 모아서 사는 사람은 단 한명도 존재하지 않으니까 저도 리셀 찬성입니다 ㅎㅎ

  • 2 8.25 12:13

    경제 책에서 딱 수요, 공급 이 4글자만 보고 이러나본데... ㅋㅋㅋ

  • 8.25 12:14

    하고싶었던 말 여기에 다 달렸네 ㅋㅋㅋㅋㅋ

  • 8.25 14:49
  • 8.25 16:11
    @씥쉑버커

    이 스티커 진짜 웃기넹ㅋㅋㅋㅋㅋㅋ 힙합엘이에ㅜ적합한 스티커인듯ㅋㅋ

  • 8.25 16:57

    병신이 병신인걸 알면은 병신아냐 병신은 병신처럼 병신이 병신인걸 몰라야 병신

     

    ㄹㅇ 맞말

    님한테 하는 말 맞아요

  • 8.25 17:49

    그나저나 85 바시티 부럽네요...

  • 8.25 20:05
  • 븅신새끼가

  • 1.12 21:08

    무식의 근원이 어디서 오신거에요? 유전?

댓글 달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일반 [공지] 회원 징계 (2025.03.23) & 이용규칙9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5.03.23
인디펜던트 뮤지션 프로모션 패키지 5.0 안내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3.01.20
화제의 글 음악 지금의 지디는 좀 신격화 되어있는 게 맞는 듯15 nunukkk 13시간 전
화제의 글 리뷰 이수린 凸凸凸凸3 title: 808sSta1k3r 19시간 전
화제의 글 음악 케이플립 식케이 랩이 진짜 아쉬웠음?11 title: Nucksal98364 11시간 전
145142 일반 비트메이킹 레슨을 한 번쯤 재미로 받아보고 싶은데5 리아두파 2020.08.25
145141 음악 어제 처음들어본 방탄소년단 랩 솔로곡12 긱긱긱긱긱긱긱 2020.08.25
145140 음악 이로한 인스타 일명 서정랩노힙합 글 댓글 말고 본문은 못 보나요?12 shotgun02 2020.08.25
일반 아니 리셀이 왜 안되는겁니까 돈 없어서 배 아프십니까?75 shotgun02 2020.08.25
145138 일반 별말은 아니고..8 gnoheaj 2020.08.25
145137 일반 브린 앨범 발매 3일 전 Q&A8 title: [로고] Vismajor브린이갑이다 2020.08.25
145136 음악 산이 딥플(?) 디스11 alldays 2020.08.25
145135 음악 담예 - Life's A Loop 되게 좋네요2 title: Guy-Manuel de Homem-Christo (2)로수 2020.08.25
145134 일반 솔직히 팔로알토가 잘못한게 뭐가있어요5 믹노믹스 2020.08.25
145133 음악 이번 과소평가된 앨범은13 IKMYEONG 2020.08.25
145132 음악 산이 노래 나왔네요8 alldays 2020.08.25
145131 일반 뷴신 마렵다 으아악3 title: 재달꼬냐다 2020.08.25
145130 일반 20살때 정말 큰힘이 됐던 노래 ㅠㅠ4 title: The Weeknd (Dawn FM)곡추천충 2020.08.25
145129 음악 로꼬 제대 D-181 title: ASTROWORLDAlonso2000 2020.08.25
145128 음악 형님들 스피커 추천좀 부탁드릴게요2 육무덱크 2020.08.24
145127 일반 솔직히 팔로알토는 좀 거북함20 hottime 2020.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