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빈지노 이센스의 콜라보 인지라 기대치가 정점을 찍었던 건 어쩔 수 없다치고
유튜브 댓글중 이런 글을 봄
"다들 별로인데 빈지노 이센스라 좋아하려고 애써 노력하는 거 같다"
정확한 평가라고 생각했음.
빈지노 이센스가 워낙에 까기 힘든 뮤지션들이고
최고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는 사람들인지라
무리해서 좋은 곡으로 몰고 가려는 게 없지 않은 듯
제일 많은 실드는
빈지노 곡은 원래 처음엔 별로인데 들을 수록 좋아진다.
계속 들어야 좋다는 건 빈지노 광팬들이나 좋아질 때 까지 듣는 거고
이런 실드를 치는 사람들도 이미 '처음엔 별로' 즉 현시점에서 별로라는 걸
인정하고 있는 게 아닌가 싶음.
아무리 대단한 뮤지션들이라도 모든 곡이 다 좋을 수는 없는건데
별로일 때는 별로라고 말해야 아티스트 입장에서도 느끼는 게 있지 않을까,
무조건 좋다고 해주면 아티스트들도 이 곡도 반응이 좋아 라고 생각해서
갖혀버리는 건 아닐까 싶음.
무슨 정확한 평가라고 생각한다는 이야기인지
호평하는 사람들의 평을 아울러서
'빈지노와 이센스라서 좋아하려 애쓰는 거 같다.'는 생각은
좋아하는 사람들의 취향이나 감상을 완전히 무시하는 발상 아닌가요?
그냥 입맛에 안 맞으면 안 맞는 거지 뒤틀린 심사로 입맛에 맞는 사람들한테까지 딴지 거는 저열한 발상
좌정관천 아닌가요?
호평하는 사람들의 평을 아울러서
'빈지노와 이센스라서 좋아하려 애쓰는 거 같다.'는 생각은
좋아하는 사람들의 취향이나 감상을 완전히 무시하는 발상 아닌가요?
그냥 입맛에 안 맞으면 안 맞는 거지 뒤틀린 심사로 입맛에 맞는 사람들한테까지 딴지 거는 저열한 발상
무슨 정확한 평가라고 생각한다는 이야기인지
그만큼 빈지노나 이센스가 가지는 파급력이 크다고 생각이되네요
빈지노 이센스한테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고 실제로 처음엔 거부감들다가도 듣다보면 좋은 싱글/앨범이 얼마나 많은데요
어떤 아티스트가 호불호 갈리는 곡 내면 불호라 느끼는 사람은 구리다라는 평이 끝인데 빈지노가 이런 곡 내면 불호여도 무언가 의미부여를 하는 건 있는 것 같음 그런데 이게 다 했던 게 있어서 그런게 아니겠습니까
전 정말로 너무 좋았어요~ :)
전 이번 노랜 딱 한번 들었는데 다시 들을 일은 없을듯
이전 노랜 처음부터 좋았는데
이 곡이 그렇다 유무를 따지는게 아니라 다수가 절대적인 태도가 확실하지 않다는 걸 말씀드리고싶네요.
목소리가 음악적으로 묻어나는 수준이 한참 다른 게 느껴져서 저는 좋았습니다.
이센스 벌스는 별로
그리고 빈지노의 지금까지 행보만 봐도 그런 걸로 갇혀있을 사람은 아닌 거 같네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