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일반

스윙스가 왜 게임체인저인가요?

Baldovinetti2018.10.30 20:15조회 수 2909추천수 3댓글 32

스윙스까는 아니고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스윙스가 버벌진트와 같은 래퍼들 처럼 힙합신에 기여한 바가 큰가요?
크다면 어떤 것이 있을까요?
신고
댓글 32
  • 켄드립Best베스트
    4 10.30 20:54
    무리수
  • title: 수비KCTAPEBest베스트
    4 10.30 20:33
    뱃사공이 말했던 부분 : 스윙스 등장전에 한국래퍼들은 행사를 가도 발라드 가수들처럼 " 안녕하세요 ~~입니다. ~~들려드릴게요."이런식으로 했다. 스윙스가 바꾸면서 욕먹는 모습도 다 지켜봤고 지금 힙합씬은 스윙스가 바꾸려고 한대로 됐다"
  • 3 10.30 22:01
    이건 진짜 그 동시대를 안 살아보면 느낌이 잘 안오는듯
    펀치라인킹 믹테와 업그레이드 이피때 센세이션은 엄청 났죠
    동음이의어 펀치라인 의 유행 말고도 미국식 애티튜드와 믹스테잎을 엄청 뿌리는 작업 방식등등 랩게임 흐름 자체를 바꾼 사람입니다
  • 1 10.30 20:25

    게임체인저 중에서도 가장 영향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가장 큰건 쇼미가 있구요.. 가사쓰는거 공연하는거 힙합마인드? 말하는 방식? 등등 크게 작게 사실상 스윙스 영향이 안간게 없다고 생각해요

  • 10.30 20:25
    컨트롤 디스전 불을 지폈던 핵심인물이잖아요.
    국힙 역사에 컨트롤 디스전이 매우 중요했던 만큼 스윙스가 힙합씬에 기여한게 엄청나다고 봐야죠.
  • 10.30 20:26
    국힙mc들 가사에 ㅈ같은 도치 비유 들어가게 된거랑 스윙스 특유의 그 자신감있는 이상한 말투 전염시킨거

    쇼미더머니를 통한 씬의 급성장에서 가장 큰 역할을 맡았던거

    씹베테랑이 된 지금도 신인발굴에 제일 힘쓰는 사람 3손가락 안에 무조건 들어가는거

    이정도 있겠네요
  • 1 10.30 20:30
    힙합씬 자체를 오버로 판을 키운 장본인
    신인발굴에 앞장서고
  • 4 10.30 20:54
    @soelzmik
    무리수
  • 4 10.30 20:33
    뱃사공이 말했던 부분 : 스윙스 등장전에 한국래퍼들은 행사를 가도 발라드 가수들처럼 " 안녕하세요 ~~입니다. ~~들려드릴게요."이런식으로 했다. 스윙스가 바꾸면서 욕먹는 모습도 다 지켜봤고 지금 힙합씬은 스윙스가 바꾸려고 한대로 됐다"
  • 10.30 20:34
    나플라 말했던 부분 : 한국에선 사람들이 그렇게 받아드리지 않았지만 미국의 컨트롤대전 같은 건줄 알고 판을 카우는데 돕고싶어서 스윙스디스에 참가했다
  • 3 10.30 20:43
    쇼미같은것도 크지만 오버클래스때도 크죠
    한국힙합에 그루브의 중요성을 전파한건 스윙스임. 한글로도 미국스러운 랩을 할수있구나 를 보여줌. 00년대 특유의 그 우리나라 랩이 점차 유연해진데는 그당시 오버클래스 영향이 컷음. 그리고 진짜 '외힙은 뭔소린지 모르겠고 국힙이 좋네요'하는 사람들만 넘쳐나던 한국힙합씬에 외국힙합도 관심을 가지게한 사람이라고 생각함. 싸이에 릴웨인 가사 한줄한줄 해석하면서 속뜻 알려주던게 생각나는데 상당히 신선하고 새로웠던 기억... 지금이야 지니어스를 필두로 엘이에서도 그런식의 해석을 하지만 당시엔 드물었던걸로
  • 10.30 21:07
    @올간
    저도 여러가지 잇지만 이걸 가장 크게 생각하네요
    싸이때 기억하시네요 ㅎㅎ 반갑
  • 1 10.30 20:45
    음악적으로는 업그레이드에있는 slow down 들어보면 이런 음악을 하는사람이 당시에 국내에 있었을까 놀랍죠 지금 칲신 love sosa 발매년도 보면 소름돋는것처럼
  • 10.30 21:58
    @깔깔
    Slow down을 꼽으시다니 뭘 아시는 분!!
    저도 이거 처음 듣고 와! 신선한데! 했던 기억이 나요ㅋㅋㅋ
  • 10.30 20:49
    스윙스가 랩을 못했다면 그가 하는 말 모두가 개소리 취급받고 묻혔을 거에여. 하지만 당시에 없었던 그루브 있는 랩을 특출나게 그리고 신선하게 잘했기 때문에, 그리고 스윙스를 알아보고 띄운 버벌진트가 있었기 때문에 다들 주목하고 배울 수밖에 없었죠. 아마도 본인은 가장 먼저 펀치라인 얘기할 거 같은데 그건 별로 아닌거같고;;ㅋㅋ
  • 10.30 20:50
    사실 버벌은 좀 독보적이라고 생각하고
    더콰 스윙스는 우열을 가리기 힘든거같아요 영향력은
  • 1 10.30 20:51
    스윙스가 가사가 미국적인걸 다시 한국적으로 해석해서 완전 잘만들었어요
    존나 유치할때도 있지만 가사 앞뒤 생각해보면 센스있을때가 많아요.
    인디고컴필에서도 요즘 힙합트렌드안에서 재치있는거 많이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 10.30 20:52
    솔직히 스윙스 upgrade ep 내고 등장햇을때 충격이었음 랩이 너무좋아서
  • 1 10.30 21:03
    무조건적으로 겸손하기보단 할 말 다 하고 가짜는 가짜라고 말하는 솔직함(비판적 관점에서는 무례함)을 씬의 핵심 요소가 되게 만든 게 버벌진트와 스윙스를 필두로 한 오버클래스였죠. VJ는 훨씬 이전 SNP 시절부터 그런 분위기를 주도하긴 했다만

    펀치라인 및 본토 문화도 스윙스가 가장 잘 표현한다고 하기엔 이견이 있을 수 있으나 씬에 자리잡게 만든 것도 단연 스윙스라 생각함. 악영향도 많지만 말이죠
  • 10.30 21:09
    실력이 선배야 뷔치~ 창시자
  • 1 10.30 21:10
    한때 스윙스가 국힙을 망쳤다는글도 유명했죠
    좋은쪽이든 나쁜쪽이든 체인저란 단어에 제일 어울리는사람이라 생각합니다
  • 10.30 22:44
    @거북왕만보
    이 소리도 진짜 많았었는데 결국 학교종교육교거리던 유교힙합 다부쉈음
  • 10.30 21:15
    일단 랩을 엄청나게 잘합니다
    본인이 잘하는 스타일이 확실히 잇는데
    요즘은 그 그루브함이 좀 없어지고 신인들과 트렌드 맞춰서 하려다보니 시행착오인건지 어울리지 않는건지 아직까지는 모르겟습니다
  • 이건 진짜 그 동시대를 안 살아보면 느낌이 잘 안오는듯
    펀치라인킹 믹테와 업그레이드 이피때 센세이션은 엄청 났죠
    동음이의어 펀치라인 의 유행 말고도 미국식 애티튜드와 믹스테잎을 엄청 뿌리는 작업 방식등등 랩게임 흐름 자체를 바꾼 사람입니다
  • 2 10.30 22:20
    @위지는아니지만반바지
    맞아요 이 댓글이 제일 공감됨

    누명이 그 당시 상황을 지켜보지 않았으면 그리 엄청난 앨범이란 걸 100% 체감할 순 없듯이 스윙스가 그때 펀치라인 개념 설명하고 랩 밖에서도 본토 플레이어들이 하던 것들 그대로 따라하고 싸울 땐 죽어라 싸우다가 이비아한테 치근덕대다가 현타와서 감정기복 EP 만들고 하던 짓들 하나하나 훗날 이야기로 듣는 거랑 실시간으로 지켜본 거랑 느낌이 다를 거라 봐요

    오버클래스 자체가 랩으로나 인터뷰로나 그런 애들로 뭉친 집단이었는데 지금 와서 당시 상황 설명을 글로 보고 음반들 다시 들어봤자 크루 사이에 랩 못하는 애들도 껴있고 싸가지 없고 그때 당시 다른 곡들보단 신선한 것들도 많네? 하는 정도지 그때 리스너들끼리 싸우면서도 점차 분위기가 주도되어 가던 당시랑 체감 자체가 다를 듯
  • 10.30 22:51
    @direo
    감정기복 ep 지렸죠 ... 그것도 무료!
  • 10.30 22:51
    @direo
    감정기복 ep 지렸죠 ... 그것도 무료!
  • 10.30 23:19
    가사적인 측면은 자기 자랑 가사, 간단한 가사, 도치법을 퍼뜨린 것이고,
    기술적인 측면으로 말하자면, 당시의 잘한다고 꼽히는 래퍼들(특히 스나이퍼 사운드 쪽)은 다 4박에 박자를
    찍어서 우다다다다다다다 식으로 빠르게 쪼아대는 식이었는데, 그 때부터 스윙스는 투포 리듬 기반의
    박자와 살짝 미는 듯한 리듬과 라임 배치로 독보적인 그루브를 보여줬죠. (이걸 레이백이라고 합니다.)
    특히 2008년 스윙스 랩과 요즘 뜨는 래퍼 아무나 잡고 라임 배치 비교하면 대부분 미는 듯한 라임 배치를
    하는데, 이게 스윙스의 영향입니다.
    스윙스 덕분에 '레이백'과 '그루브'가 한국힙합에 퍼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물론, 그루브를 가진 래퍼들은 그 전에도 버벌, 다듀, 메타, 피타입 등이 있었지만,
    그루브를 퍼뜨려서 상향평준화를 가져온 래퍼는 스윙스)
  • Baldovinetti글쓴이
    10.31 00:05
    댓글 달아주신 모든 분들 감사합니다.
    스윙스가 그랬다는걸 알고 있었지만 지나쳤던 부분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 10.31 03:37
    요즘은 본인 음악보단 신인 발굴 후배 양성으로 더 영향력 있는 것 같아요.
  • 10.31 03:38
    속칭 힙합씬을 x판으로 만들었죠
  • 10.31 03:59
    도치법,본토와 유사한 그루브,펀치라인,태도 등 여러가지 언급해주셨지만 저는 아직도 스윙스하면 믹스테잎이 떠오르네요. 그 당시 많은 래퍼지망생, 심지어 래퍼 분들도 스윙스 처럼 믹스테잎을 만들고 중간에 스킷넣고 1분반~2분 짜리의 소모적인 동시에 실험적인 트랙들을 많이 만들었죠. 그 당시 힙플 자녹게 80%가 스윙스가 만든 믹테 트랙과 유사한 구조로 만든 사람이 많았죠. 스윙스는 믹테시절부터 실험적이고 허슬러였네요
  • 10.31 09:08
    래퍼들 솔직하게 가사쓰는법은 얘한테 배움
  • 10.31 12:28
    비즈니스 적으로도 회사에 소속된 뮤지션이 소속사와는 독립적으로 자기 회사 차리는걸 본격적으로 한 첫타자기도 하죠.
  • 10.31 14:08
    꾸준히 뛰어난 랩 퍼포먼스를 보여주면서 허쓸하고 신인 아티스트들 발굴이랑 스윙스 랩레슨 출신들 배출
    회사 3개 힙합대중화 등등
    군대가기전 스윙스는 대부분 사람들이 꼽는 탑mc였죠

댓글 달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일반 [공지] 회원 징계 (2025.10.23) & 이용규칙12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5.10.23
인디펜던트 뮤지션 프로모션 패키지 5.0 안내2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3.01.20
화제의 글 일반 국내 힙합 CD 무료 나눔합니다 (첫 홍보글)11 title: 팔로알토오프니어 22시간 전
화제의 글 일반 쇼미 떨어졌다고 징징대는 래퍼에게 저격한 가오가이15 title: Free JazzLocal 4시간 전
화제의 글 일반 수료하고왔습니다.17 title: MF DOOM (2)후주 22시간 전
86292 음악 요새 트렌디한 래퍼중에5 Ya,5 2018.10.30
86291 음악 진짜 비트부터 랩까지 완벽하다고 생각하는곡8 title: Kanye WestLambordillac88 2018.10.30
86290 일반 change에서 그레이 훅 너무 좋은거 아닙니까4 title: 후디creative3mm 2018.10.30
86289 일반 음악취향은 전혀 맞지않지만 행보가 마음에 드는 랩퍼가 있으시나요?25 title: Thomas BangalterLLJ 2018.10.30
86288 일반 사운드보정판, [몽구스 시즌2] 3화 #다이나믹듀오 #dynamicduo 태풍 2018.10.30
86287 일반 취소표 구했다....4 Lyricus 2018.10.30
86286 일반 힙x)현재 실검 1위 주인공..40 title: Thomas BangalterLLJ 2018.10.30
86285 음악 재키와이 추천곡 부탁드려요22 피지컬씨디 2018.10.30
86284 음악 나도 오왼 신보 좋다고 글쓰러옴2 dope해dope해 2018.10.30
일반 스윙스가 왜 게임체인저인가요?32 Baldovinetti 2018.10.30
86282 음악 마이크스웨거 다음타자21 soelzmik 2018.10.30
86281 음악 힙합어워즈 올해도 하겠쬬?2 title: 21 Savagegormley 2018.10.30
86280 일반 저스디스 쇼미나가면 우승이라아며1 달토끼 2018.10.30
86279 음악 쌈디 왤케 구림11 title: Busta Rhymessksksk 2018.10.30
86278 음악 JUSTHIS - Welcome to My HOME (Remix) (Official Video)1 Hyungpael 2018.10.30
86277 일반 아 혹시 이번 분신 굿즈 판다고 얘기 있었나요?5 title: VULTURES 2cig0721 2018.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