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힙합엘이에선 수작정도라고 평가받는일이 잦더라구요
전 에넥도트와 누명에 버금가는 역대 명반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오히려 전 에넥도트를 수작정도로 느꼇습니다(물론 많은 랩퍼와 대중이 리스펙하는 만큼 명반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녹색이념을 듣기전부터 절 쭉 지배했던 생각들은
항상 돈만 생각하며, "돈만 많으면 만사 장떙이야 씨벌~" 이런 사상인데
테이크원은 오히려 "난 돈보다 피봤다, 돈 보다 더 중요한 무언가, 내가 돈을 벌기위해 했던 거짓된 모습" 을 감정이 실린 랩으로 말하는걸 듣고 무언가에 망치를 맞은 느낌?이 들었어요
테이크원이 녹색이념에서 들려줬던 돈을 쫒아가면서 내가 저질렀던 거짓된 모습을 나열하고 그 모습을 혐오하는 모습,
자칫 과거의 테이크원이나 혹은 나, 내 주위에 많은 사람들은 돈만 벌면 자신의 거짓된 모습을 "에이 돈 벌었으니까 됐지~"라며 타협할수 있는데 테이크원은 타협하지 않고 떳떳하게 자기자신을 혐오하는 선택을 한게 너무 멋있었고 그 떳떳함은 제 인생의 가치관을 바꿧죠
물론 이것 외에도 테이크원이 리스크를 걸고 고백을 한 여러 사건들, 가사들 그 것들도 아주 일품이라 생각합니다
전 명반이란건 사람의 사상을 영향을 주는 앨범이라 생각합니다
이런면에서 녹색이념은 "냉정히 보면","주관성 빼고 보면~" 이라는 수식어가 붙어서 수작으로 불리는게 폄하라고 생각합니다 ...
예술에는 객관적인 잣대가 없는 주관성을 빼는것도 이상하고요,
저같은 사람이 분명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녹색이념은 냉정히봐도 엄밀히 따져도 명반이라 생각해요 (물론 수작이라 생각하는 분들이 틀렸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존중하기 싫지만 존중합니다)
이센스의 에넥도트는 제가 하고있던 사상이랑 너무 똑같아서 공감? 은 했지만 뭔가 새로운 무언가를 느끼질 못해 수작정도라고만 생각했듯이
음악에서 주관을 뺴는건 말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태균이형 랩은 부분적으로만 오! 하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평범
영어를 안 섞다보니 감흥이 믹테보다 떨어짐
비트는 잘 어울린다는 말이 많은데 어울리더라도 구린 건 구린 거
힙합 음악의 성향상 그런 진지한 음악 자체가 낄자리가 좀 없기도 하고
감정선 고조되지 않는 부분에서의 플로우가 단조롭다고 느꼈고(특히 돈)
무교라 기독교적인 색이 강한 1, 2번 트랙에는 거부감이 좀 생겨서 아쉬웠어요.
감정선이 점점 고조되면서 얌전에서 폭발하는 부분이 워낙 압도적이라 단점을 상쇄해서 그렇지 아쉬운 부분에 초점을 두면 저평가하는 사람도 이해는 가네요.
그 씬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도 굉장히 중요하죠
그만큼 센세이션이었다는 뜻이니깐
흔히 명반으로 불리는 누명(제기준 국힙엔 이거 하나입니다)
MBDTF, GKMC 등등 모두 씬의 다른 뮤지션들에게 끼치는 영향이 어마어마했죠.
이전에 컴백홈 등을 통해 테이크원의 녹색이념을 기대했던 저는 처음나오자마자 바로 앨범을 쭉 돌렸는데 전 실망할 수 밖에 없었어요.
입장,이제는 떳떳하다 등을 통해 그간의 공백을 설명하던 그는 이제는 보여줄때 라지만 전 이 앨범에서 그 공백기간에 리스너들에게 어떤 음악을 보여주고 싶은지 잘 느끼지 못했습니다. 씬에 미치는 영향도 미미했구요
커버나 암전 같은 곡을 떠나서도 누명 같은 앨범을만들려고했던게 아닐까 싶은 느낌이 강하게 드는 앨범인반면에, 누명과 달리 비트나 래핑같은 부분에 있어 동시대 작품들에 비해 월등하단 느낌은 받지못했기때문에요. 오랫동안 돌려듣고 곱씹어볼만한 앨범이란 점에선 훌륭하다 생각합니다
말씀하셨듯 에넥도트가 이처럼 훌륭하게 평가받는 이유가 저는 더 납득이 안되기도해요. 솔직히 이센스가 제대로다시 해보면 에넥도트보다 더 조은 작품도 뽑을수 있을거란 생각 종종할정도로 에넥이 월등한 앨범인진 모르겠음
횡설수설 했네요 아무튼 전 그랬어요
그런 사상이 어느정도 있다곤 봐요
그래서 제가 에넥도트에 공감 했다는글에 물음표를 넣은거에욥
그래서 테이크원이 그 긴 공백기를 거쳐 이제는 보여줄때 라며 녹색이념에서 보여준게 뭐죠?
아무것도 없죠...
에넷도트도 사람의 사상에 영향을 주는 앨범이라고 생각해서 명반이라 생각합니다 제 취향은 아니지만
만약 씬에 영향을 주는걸로 허들을 높인다면... 솔직히 한국 힙합이 발전하기 전에 신세대의 클래식함을 보여주고 계몽시키는 역할을 한 앨범은 누명밖에 없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신파작이라는것도 인정 못하겟습니다 ...
신파는 일방적으로 자기가 불쌍하고 자기자신이 불행하다 혹은 자기자신의 혐오를 담아도 그 근거가 너무나 부족할때가 많은데 (현재 emo힙합이 이렇다고 생각함)
테이크원의 자기혐오는 몇 트랙을 거쳐서 테이크원이 그 이유를 설명하고
자기자신이 했던 악한 행위들 반려견 학대같은 그런 스스로가 쓰기 힘든 얘기를 쓸때 느끼는 자기맘에 무거움들,
자기 주변사람과 자기자신 모두 잘못된것이라 하면서 이제는 떳떳해질거라고 하며 자기자신에게도 책임을 부여하는 형식은 신파라고 생각하진 않아요 ...;
물론 모든 의견은 리스풱
태균이형 랩은 부분적으로만 오! 하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평범
영어를 안 섞다보니 감흥이 믹테보다 떨어짐
비트는 잘 어울린다는 말이 많은데 어울리더라도 구린 건 구린 거
그리고 필자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사람의 사상에 영향을 주는 것 역시 음악에서는 중요한 지점이기도 하고,
비평은 결국 주관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는 필자분의 말씀 역시 논의할 만 합니다.
그렇다면 방향을 좀 바꿔서, 녹색이념이 아닌 필자분이 음악을 평가하는 잣대에 대해 직접 되묻고 싶습니다. 필자분에게요.
뭐 물론 제가 녹색이념을 저평가하는 이유와 맞닿아있긴 합니다만,
<잘 쓰여진 글, 그 속에 담긴 이념과 사상 내지는 컨셔스함, 듣는 모두에게 영향을 주는 좋은 메시지>
"명반이란 사람의 사상에 영향을 주는 앨범이다, 그를 위한 조건은 위와 같을 수 있다."
저희는 음악을 듣고 그에 대해 평하는 것입니까, 아니면 책을 읽고 그에 대해 논하는 것입니까?
녹색이념은, 음악이 아닌 자서전입니까?
나아가서, 아름다움이라는 것이 과연 사람의 미감을 넘어 심성과 이성 등 다른 것에 영향을 주어야만 아름다움이라고 불릴 수 있는 것입니까?
아름다움의 규준의 주관적이라면, 아름다움이란 개념은 무의미하지 않겠습니까?
분위기 잘 끌고 갔다가 14번째 트랙 제자리까지 이어지면 누명이랑 어깨를 같이 하는 리얼 띵작인데 너무 아쉬움 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이건 예술의 근본이라고 볼 수도 있는 주제이기에 이런 앨범이 더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있음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