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맞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그냥 본인 즐거우려 음악 듣는데 귀를 다른 사람들의 취향에 맞추려 애쓸 필요는 없죠.
근데 그런 노력을 다른 사람의 취향에 동화되기 위한 쓸모없는 노력이라고 폄하할 것까진 없다고 봐요
다른 사람들이 어떤 이유로 이 음악을 좋아하는지 호기심이 생길 수도 있는 것이고 그걸 탐구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취향을 발견하게 되는 경우도 있어요 저도 겪어봐서 하는 얘기에요
저는 영화 보는 취미는 없지만 이동진 평론가 유튜브 채널을 자주 보는데 거기서 평론가 님이 하신 말이 있는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취향의 대부분은 교양이에요. 반대로 말하면 교양의 대부분은 취향이에요."
이런 식으로 말한 적이 있어요 그러니깐 식견이 높아질 수록 좋아하게 되는 음악(영화)가 많아지는 것이고 음악(영화)를 좋아할 수록 아는 게 많아지는 것이죠.
제가 하고 싶은 말은 여러 청자들과 평론가들의 분석과 감상을 거쳐 좋은 작품이라고 여겨지는 것들을 여러 번의 감상과 탐구로 좋아하게 되는 게 절대 쓸모없거나 허황된 행동이 아니라는 거에요. 분명 그 과정에서 교양과 식견이 높아졌을 것이고 그로 인해 수용할 수 있는 취향의 범위가 넓어졌을 테니깐요. 고전을 감상하는 일은 분명 나름의 가치가 있는 일입니다.
동화되기 위한 노력이라고 폄하하면 안 돼죠 여기서는 그런 글을 본 적은 없는 것 같지만
굳이 느끼려고 노력하지 말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은 억지로 그걸 듣기 보다는 천천히 다른 것부터 듣다가 나중에 그걸 들어도 된다는 의미에서 그러시는거죠
ㄹㅇ
전 뭔가 명반을 못느끼면 손해보는 것 같아서 항상 느끼려고 노력합니다
저도
안맞으면 딴 앨범 갔다가 오는 것도 방법이죠
음.. 저는 음악을 들어가면서 식견이 좋아지는 게 더 자연스럽다고 봅니다. 식견을 높이려고 음악을 듣는 것보다는요
저는 그 둘이 서로 상충한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음악이 주는 청각적 자극 뿐만 아니라 낯선 음악에 대한 호기심과 그것을 알아가는 것 또한 리스너가 느낄 수 있는 재미라고 생각합니다 꼭 그 둘이 선후관계가 있을 필요는 없어요 두 개를 동시에 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추천
맞는말이라고 생각하는게 블론드 듣고나서 음악 듣는 폭이 확 넓어졌어요
맞말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