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음악인 랩뮤직을 케이팝 사운드에서 구사하는게
저희의 입장에서 듣기엔 식상하거나 깊이감이 부족하다고밖에 느낄수있죠
사실 기존의 2세대 아이돌들이 케이팝에서 보여준 랩들은 정말 수준이하였어요
근데 그런 사람들이 솔로로 나왔을때 진짜 보여준적이 있었기때문에
그런 인식도 많이 희석된거라 봅니다 그게 전 GD라는 존재라고 보고요
전 원옵카를 그렇게 음악적으로 그렇게 엄청 대단하다고 보진 않습니다
근데 래퍼가 보여줄수있는 간지를 표현하는데에는 최고였다고 보거든요
그래서 그뒤로 지코같은 사람들이 나왔을때 배타심보다는 한번 들어볼까 라는 분위기가 형성된거고
지코같은 분들도 그런 간지를 너무 잘 보여주셨고 아이돌 출신이였던 박재범도 있으니까요
그래서 아이돌 출신이라해서 일단 배척하는 분위기는 사라진거 같습니다
결국 분위기는 음악이죠
저희는 여전히 포스트 GD, 포스트 지코 이런거 원하잖아요 이런 슈퍼스타
빈지노같이 언더래퍼로 시작해 슈퍼스타가 되는것도 좋지만
전 요즘은 그가 과거에 한 음악이 어떤 장르인지는 이제 신경 안씁니다
그리고 딱 저사람들 나올때쯤부터 아이돌음악의 랩파트 벌스의 완성도가 상당히 올라간 시점이 있었습니다
예전에는 랩이랍시고 악지르면서 소리지르고 이상한 괴성같는거 흉내내면서 라임도 하나도 없었는데
요즘은 벌스만 따로 떼어놓고보면 수준급인 가사들도 꽤 있는거 같아요
대필인지 본인이 진짜 쓴건지는 모르겠는데 그래도 그렇게라도 해서 랩의 형식을 지키겠다는건 고무적인 일입니다
저는 케이팝 래퍼들에 대한 인식이 달라진 이유 중 하나가, 요즘 힙합씬에서도 다양한 장르를 섞는 게 훨씬 흔해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케이팝 사운드를 어설프게 따라 하려는 래퍼들도 제법 보이죠. 예전엔 장르 구분이 명확해서 그 장르로서의 조건도 분명했지만, 이제는 경계가 흐려져서 굳이 그 틀 안에 머물러야 한다는 기준 자체가 의미 없어졌다고 봐요.
하이퍼팝이나 이모랩처럼 이미 감정선과 사운드가 팝, 록, 일렉트로닉을 넘나드는 장르들이 생겨났고, 한국에서도 케이팝·발라드·락을 섞은 이른바 ‘한국식 발라드랩’이나 ‘한국식 이모랩’ 같은 형태들이 자연스럽게 등장했잖아요. 결국 힙합도 이제는 흥선대원군처럼 정통성의 문을 굳게 닫아둘 수 없는 입장이 된 거죠.
물론 GD, 지코, 박재범 같은 긍정적인 사례들이 있었지만, 여전히 그 비율은 많지 않다고 생각해요. 래퍼들의 실력도 상향평준화된 만큼 그들의 리그에서도 경쟁이 치열해졌겠지만, 랩을 잘하고 또 그 랩을 굳이 찾아서 들을 만한 아이돌 래퍼는 극소수인 게 사실이죠.
다만 아이돌 래퍼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든 건 이런 몇몇 성공 사례 때문이라기보다, 시대적 흐름이 만들어낸 변화의 비중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장르의 통합은 좋은데 할꺼면 좀 잘좀 해보라고 유사 파쿠리랩하고 2mh1k 나 녹색이념 같은 명반 둘중에 하나 고르라고 하면 명반 들을거잖아 암튼 ㅋ퀄이 구리다고 ㅅㅂ 아이돌래퍼 할거면 바비나 지코처럼 하라고 ㅅㅄㅄㅄㅄㅂ
아이돌 음악에서 흔히 말하는 억랩이 너무 거북함., 굳이 왜 여기서 랩을 하지?싶고 또 랩 하는 거 들어보면 목소리 억지로 깔면서 라임 구조도 엉망인거보면 몰입 확 깨짐. 그래도 그걸 뛰어넘는 아이돌 노래가 있으면 많이 듣는듯.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