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암호화된 앨범이고 이 수준까지 못오는 애들이랑은
얘기 안한다
이건 이 수준을 이해하는 애들하고만 놀려고 만든 앨범이고
명반이다
이렇게 이야기하는데 좀 너무 아트스트로써 거만한 태도가 아닌가 싶네요
저스디스의 전 작업물들을 리스너들이 이해하지 않아준것도 아니고
이번에 리스너들이 구리다고 하면 그냥 너네 수준이 낮은거야 뻐큐 이러면 되는거라,, 일종의 가불기조
진짜 자신있고 즇은 앨범이면 그런거 상관없이 인정 할수있는 앨범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컬스는 좋게 들었는데 그닥 기대는 안되는것같네요
빈지노도 노비츠키 내고 이해못하는건 너네 수준이 안맞는거야
이렇겐 말 안했던거같은데
근데 머 이런 태도 자체는 전 맘에 들었어요
좋은게 좋은거지 하고 넘어가는 것 보다
패기도 있고 리스크를 지고 이슈를 만들어 보려는 것도 있고
결과물이 문제죠 결과물이..
그렇게 생각할수도 있겠네요 ㅜ
거만한 게 맞죠, 저렇게 보여주는 이미지까지가 앨범의 연장선인가 의문이 들정도의 발언임
어차피 대중들 평가는 상관없다는 뉘앙스인것같기도 하고
명반이라고 말하는건 모순인거같기도 하고..
저렇게 해놨는데 1시간짜리 ‘내말은맞고니들은틀리다’ 정신교육이면 국게 볼만할듯
ㅜㅜ 그게 우러되네요
결국 좋은거 나오면 상관없죠
이현준의 LIT은 들을수록 "파고들수록 의미가 상실되어간다" 를 조금 어렵지만
자기가 느끼고 깨달은 것들을 말하면서 청자들에게도 설득을 잘 해줬다 생각해요
저스디스의 LIT은 어떤내용이 들어갈진 모르겠는데.. 말씀하신대로 가르치려는 말투면
그냥 개킹받아서 개실망의 연속에 연속일듯
앨범 내기 전부터 번역 중 손실 발생하는 중
윙깅처럼 쳐맞으면 알아서 체념하게 되어있음
근데 2mh도 힙합 들은 사람에게나 들리는 게 많은 앨범이고 그게 아닌 사람들은 대부분의 가사가 그냥 지나가는 가사인지라...
저는 lit도 이런 의미에서 하는 말이 아닌가 싶긴 합니다
확실한 건 나와봐야 알겠지만요
막 그런걸 점층적으로넣어놧을듯
어느방향에서는 한 사람의 인생 서사
다른방향에서는 힙합 역사 은유 이런식으로 ㅋㅋ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