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은 제가 국힙을 찾아듣는 편이 아니라
못봤을 수도 있지만..
제리케이, 던말릭말고는 컨셔스랩하는 사람 못본거같아요
거기까진 아니더라도 우리가 사는 삶과 사회와 맞닿는 부분을 건드린
MC는 비프리. JJK. 화지, 사포, 차붐, 레디 정도?.. 그외에는 제가 보질 못했네요..
그냥 요즘은.. 형식과 스타일에 치중한 음악들이 쏟아져 나와서
의식있는 음악을 하기에는 겁이날 수도 있다. 라고 충분히 생각하지만
좀 아쉬운 느낌을 지울 수가 없네요..
요즘도 국내 다른 인디장르는 그런 고찰이나 메세지를 잘만 담아내던데
지난 얘기지만 세월호 사건때도 대부분 별 움직임이 없는걸 보고
확실히 한국에서는 힙합 본연의 의미가 많이 죽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힘이되는 노래들 굉장히 많아요!~
그건미국이나여기나마찬가지인듯
결국 힙합이라는 집단의 표현이 아닌 개인의 표현일 뿐이죠.
그런 걸로 '장르 대결/비교' 같은 접근을 하는 게 무슨 의미인가 싶네요.
사회의 현상에 대해 다루는 뮤지션이 반가우시다면 그 결과물을 즐기면 그만이지 않을까요? '집단의 의무' 같은 개념으로 접근해봤자 강요밖에 안 된다고 봅니다. '힙합음악의 보편적 기능과 역할'같은 건 결국 통계치를 얻고자 할 때만 적용될 뿐이죠. 음악하는 사람에게 음악이라는 도구는 그저 개인적 표현의 수단일 뿐, 그 누구도 특정 이야기를 강요할 순 없는 거겠죠.
막상 그렇게 나왔는데 구리면
사람이 죽었는데 이딴 곡이나 만든다고 깔꺼면서
으휴;
세월호같은거는 잘만들어도 까일수밖에 없음.
그냥 안다루는게 최선인데.
관심 받고싶냐는식으로 많이 욕먹었음
반대적인 성향 사람들에게는 등을 돌리는 것이니까
쓰는게 어렵겠죠. 타블로처럼 이론적으로 정치의 악한 면을 건드리는 게 최선이지 않을까요..ㅎ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