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꿈들에게는 가까워졌으니
I'm thankful mahalo
Gotta go lets get that money muh fucka
치키차카초코초 but aint a damn thang
funny muh Fucka
No stress no flexzone in my fuckin 동네
한국 랩퍼들 아가리 똥내
날 갖다 쓰고 싶음 일단 돈 내
난 향수 쓰지 않아
나의 몸에 나는 돈내
우연히 생각난건데 오케이션의 곡중
Damn thing funny와 no flex zone이 있는데
우연한건가요? 의도가 뮈라고 생각하시나요ㅋㅋ
I'm thankful mahalo
Gotta go lets get that money muh fucka
치키차카초코초 but aint a damn thang
funny muh Fucka
No stress no flexzone in my fuckin 동네
한국 랩퍼들 아가리 똥내
날 갖다 쓰고 싶음 일단 돈 내
난 향수 쓰지 않아
나의 몸에 나는 돈내
우연히 생각난건데 오케이션의 곡중
Damn thing funny와 no flex zone이 있는데
우연한건가요? 의도가 뮈라고 생각하시나요ㅋㅋ




미국의 최근 유행하는? 자주 쓰이는? 표현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편이구요.
오케이션에 대한 의식이 깔려있었는지의 여부는 모르겠지만 위의 맥락에서 사용한 표현들인 것 같아요.
노쁠렉스조니라는 노래가 있답니다
내 꿈들에게는 가까워졌으니 I'm thankful mahalo
mahalo (하와이 말로 고맙습니다.)
>> 꿈들에 가까워졌다. 감사하는 자세로 산다.
Gotta go lets get that money muh fucka
>> 돈 벌러 가야 한다 씹빠빠리들아
치키차카초코초 but aint a damn thang funny muh Fucka
(치키차카초코초 : 애니메이션에서 유래된 주문. aint = 아니다. damn thang funny 존나 웃긴 것, 존나 유치한 것)
치키차카초코초 주문을 외우지만 내 주문은 만화에 나오는 유치한 장난이 아니야.
돈벌겠다는 내 소망이 진짜 현실로 이루어지는 주문이야. 뭐 이런 뜻.=SWAG
No stress no flexzone in my fuckin 동네
No stress : 도끼 생활 신조기도 하고, 돈 많이 버니 스트레스 없다 뭐 이런 거죠
no flex zone : 자랑질 금지 구역, 허세 금지 구역. 뭐 이런 뜻인데요. 유행가 제목이기도 하죠.
자신이 사는 동네는 자랑질 금지 구역이다. 왜냐면 나보다 잘나가는 놈 없으니까. 자랑질 하면 공자님 앞에서 문자 쓰는 꼴이다. =SWAG
한국 랩퍼들 아가리 똥내
날 갖다 쓰고 싶음 일단 돈 내
난 향수 쓰지 않아 나의 몸에 나는 돈내
'ㅗ내' 로 라임 맞추려고 쓴 가사들. 한국 랩퍼들은 아가리 똥내만 나고 랩도 못해서 피처링으로 자신을 쓰고 싶어한다. 하지만 그러려면 돈 내라. 난 돈이 많아서 돈냄새가 늘 나기 때문에 향수도 필요없다. =SWAG
도끼 속이야 모르겠지만 제가 볼 때는 오케이션과는 전혀 관계 없는 가사로 생각됩니다.
그냥 흔한 표현들이지 오케이션을 의식한거라고 보이진 않네요
그리고 원래 종종 하잖아요 그런거
가사에 다른 랩퍼 구절들 인용해서 쓰는거..
옛날부터 종종 있던일임
댓글 달기